반응형

대구시가 추진했던 미국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도입을 두고 ‘불법 거래’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지역 시민들이 권영진 대구시장의 사과를 촉구하는 움직임에 나서고 있습니다. 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따르면 ‘권영진 대구시장의 공식 사과를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습니다.

자신의 대구 시민이라 밝힌 작성자는 “더 이상 쪽팔려서 대구에서 살 수가 없어 청원을 남긴다”며 “선거운동 때에는 장풍에 날려 엉치뼈를 다친 대구시장이 이번에는 일개 무역회사 연락을 받고 화이자 백신 구매를 정부에게 주선하겠다고 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누가 봐도 상식적으로 안 될 일을 한 것은 자신의 정치적 야욕을 위해 움직인 것으로 시민들은 타 도시로부터 손가락질 받는 불쌍한 신세가 됐다”며 “백신이 해외직구 상품도 아니고 보따리상 밀수품도 아닌데 어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나”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또 “홍보는 주도적으로 해놓고 이제 와서 (권 시장이)발을 빼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대구시는 화이자 백신 3000만회분을 공급할 수 있다는 지역 의료계와 외국 무역회사의 제안을 정부에 전달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화이자제약 측은 대구시가 추진한 백신에 대해 승인을 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부 역시 백신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절차를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밝히면서 불법 여부가 있을 경우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는 화이자 측의 입장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정부는 대구시가 주선한 화이자사(社)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진위가 의심된다며 구매를 추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3일 백브리핑에서 대구시의 화이자 백신 구매 주선과 관련해 "백신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절차를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손 반장은 "화이자는 각국 중앙정부와 국제기구에만 백신을 공급하고 있고 제3의 단체에 한국 유통을 승인한 바 없다"면서 "대구시가 연락한 무역업체는 공식 유통경로가 아니고 바이오엔텍과의 거래도 아닌 것으로 파악돼 진위가 의심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화이자 글로벌 본사로부터 '무역업체의 진위 여부를 파악 중이며 국제 수사기관과 협력해 조사해보고 불법 여부가 있으면 법적 조치를 취한다'는 입장을 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대구시의사회와 의료기관 모임인 메디시티협의회 등은 화이자 백신 공동 개발사인 독일 바이오엔테크를 통해 국내 백신 공급을 추진해 왔으며, 대구시는 최근 화이자 백신 3천만회분을 3주 안에 공급할 수 있다는 지역 의료계와 외국 무역회사의 제안을 정부에 전달했습니다. 한국화이자제약은 대구시가 추진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구매에 대해 불법 거래로 파악된다며 필요할 경우 법적 조치를 단행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냈습니다.

한국화이자는 3일 "화이자-바이오엔텍의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주'를 국내 수입·판매·유통할 수 있는 권리는 화이자에만 있다"며 "바이오엔텍을 포함한 다른 제3의 기관은 한국 내 판권을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회사는 그러면서 "화이자가 아닌 다른 루트를 통해 공급되는 백신은 확인되지 않은 제품"이라고 일축했습니다.

회사는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동안 각국의 중앙정부와 초국가 규제기관에만 공급되고 있다"며 "화이자 본사와 한국화이자는 그 누구에게도 이 백신을 한국에 수입·판매·유통하도록 승인한 바 없으므로 중개업체를 통해 (국내에) 제공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화이자와 화이자 본사는 대구시가 한 무역업체를 통해 추진해왔다고 알려진 코로나19 백신 구매를 비공식적 거래로 규정하고 적절한 조처를 하기로 했습니다.

한국화이자는 "해당 업체의 제안은 합법적으로 승인되지 않은 것"이라며 "공식적인 거래가 아닌 것으로 파악돼 진위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회사는 이어 "조사 결과에 따라 관련 업체나 개인에 대해 가능한 법적 조치를 고려할 예정"이라며 "조사 과정에서 관련 국제 수사기관과도 적절히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구시의사회와 의료기관 모임인 메디시티협의회 등은 화이자 백신 공동 개발사인 독일 바이오엔텍을 통해 국내 백신 공급을 추진해 왔으며, 대구시는 최근 화이자 백신 3천만 회분을 3주 안에 공급할 수 있다는 지역 의료계와 외국 무역회사의 제안을 정부에 전달했습니다. 정부는 대구시가 주선한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의 진위가 의심된다며 구매를 추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