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희토류( Rare Earth Elements)는 원소기호 57번부터 71번까지의 란타넘(란탄)계 원소 15개와, 21번인 스칸듐(Sc), 그리고 39번인 이트륨(Y) 등 총 17개 원소를 총칭한다고 합니다. 희토류는 물질의 지구화학적 특성상 경제성이 있을 정도로 농축된 형태로는 산출되지 않고 광물 형태로는 희귀하므로, ‘자연계에 매우 드물게 존재하는 금속 원소’라는 의미의 희토류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희토류는 LCD, LED, 스마트폰, IT 산업, 전자제품 등 폭넓게 쓰이고 있습니다. 형광체 및 광섬유의 필수 요소이며, 방사성 차폐 효과도 뛰어나 원자로 제어제로도 사용되고 있어요. 또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레이저와 페인트, 배터리 등에도 사용되고 있죠.

그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녹색 성장(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에 있어 희토류의 역할이 중요한데요. 우수한 자기에너지와 보자력을 나타내는 희토류 영구 자석형 모터 및 발전기가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어 앞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0년부터 중국은 자국 내 희토류 생산량을 제한하고, 수출량을 감축하며, 희토류에 부과하는 세금을 대폭 인상하는 등 희토류를 정부 통제 하에 자원무기화 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이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희토류가 가지고 있는 외교적 파급력은 막강합니다. 

이를 잘 보여주는 예로, 2010년 벌어진 일본과 중국 사이의 영토분쟁 사건입니다. 한 치의 양보도 없던 두 국가가, 중국에서 희토류 수출 금지라는 카드를 꺼내 들자 강경 입장이던 일본이 사과까지 했던 사건으로 희토류가 가진 막강한 힘이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